DogKaeBi
    粵 ▾
      基礎概念基本語法粵音發音語氣助詞字典詞典
    Blog
      About
      粵 ▾• 基礎概念• 基本語法• 粵音發音• 語氣助詞• 字典• 詞典
      Blog
      About
      광둥어의 금기어 기휘(忌諱)문화

      광둥어의 금기어 기휘(忌諱)문화

      광둥에는 忌諱/委婉 문화가 있다. 특정 한자가 불긴한 단어와 같은 발음일 때 다른 한자로 대체해서 사용한다

      中國故事

      목차

      • 1. 시작하면서
      • 2. 대체 한자/단어
      • 2.1. 空(凶) -> 吉
      • 2.2. 肝(乾) -> 膶
      • 2.3. 舌(蝕) -> 脷
      • 2.4. 血 -> 紅
      • 2.5. 竿(降) -> 昇
      • 2.6. 苦瓜 -> 涼瓜
      • 2.7. 絲瓜(輸瓜) -> 勝瓜
      • 2.8. 黃瓜 -> 青瓜
      • 2.9. 伯母 -> 伯有
      • 2.10. 傘(散) -> 遮
      • 2.11. 帆船(翻船) -> 𢃇船
      • 2.12. 四樓(死樓)
      • 3. 예의식 혹 상대 배려
      • 3.1. M : 생리, 월경
      • 3.2. 有咗 : 임신하다
      • 3.3. 房事 : 성행위
      • 3.4. 壽木 : 관, 널
      • 3.5. 엉덩이
      • 3.6. 대변, 소변
      • 4. 기피 선물
      • 4.1. 鐘(終)
      • 4.2. 梨(離)
      • 4.3. 鞋(嚡)
      • 5. 뜻이 불긴한 단어 자체
      • 6. 고대 황제명으로 변경
      • 7. 이 외에도..

      관련 한자/단어

      吉膶脷紅昇涼瓜勝瓜青瓜伯有遮𢃇船M有咗房事壽木籮柚噼噼囉噼鐘終梨離鞋嚡死鬼病瓜污糟嘢嗰啲嘢

      시작하면서

      忌諱(기휘)문화라고 하고,
      기피하는 단어를 禁忌語(금기어)라고 한다.

      주로 세가지 형식이 있다.

      • 단어 뜻이 안 좋음
      • 발음이 안 좋은 한자와 비슷함

      이런 경우 다른 한자로 대체해서 사용한다.

      광둥지역은
      옛날부터 무역과 장사꾼의 지역으로
      고대부터 흉길(吉凶)에 대해 예민하다.

      사용되는 이유는

      • 미신적 이유
      • 대화하는 상대에 대한 예의
      • 고대의 황제의 이름이나 사용이 금지로 변경된 것을 계속 사용

      등 이 있다.




      대체 한자/단어

      대체 한자는 대부분
      한자 자체가 기피하는 단어이거나,
      한자의 발음이 안좋은 단어이다.



      空(凶) -> 吉

      • 空 : 비어있다.

      발음이 "凶"과 같아서 특정된 단어가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다.

      대체하는 한자로 吉을 사용한다.

      • 吉車 : (空車) 비어있는 차
      • 吉屋 : (空屋) 비어있는 집
      • 交吉 : (交空) 입주자가 없을 때 거래하다
      • 個水樽吉咗 : 물병이 비었다

      "빈손으로 돌아오다"라고 할 때는
      吉이 아니라 桔으로 얘기하기도 한다.

      • 得個桔 : 빈손으로 돌아오다. 헛수고하다


      肝(乾) -> 膶

      "肝"의 발음은 "乾"과 비슷하다.
      광둥에서 물(水)은 재산을 뜻해서,
      "乾"을 기피한다.

      "豬肝"은
      이름이 재수없다고 판매가 안되서
      광둥에서는 豬膶을 사용한다.

      • 豬肝 -> 豬膶 : 돼지 간

      乾의 반대인 潤의 발음을 사용한 것이다.

      "豬膶"이 정자이지만,
      "豬潤"으로도 많이 쓴다.


      이 외에도

      • 豆腐乾 -> 豆膶/豆腐潤 : 건조 두부
      • 乾杯 -> 飲勝 : 건배

      (飲勝: 마셔 이기자)
      위처럼 대체해서 사용한다.



      舌(蝕) -> 脷

      "舌"은 "蝕:적자"발음으로 기피한다.
      "利"의 발음인 脷으로 대체한다.

      • 豬舌 -> 豬脷 : 돼지 혀
      • 舌根 -> 脷根 : 설근. 혀뿌리


      血 -> 紅

      발음 때문이 아닌
      血-피를 기피해서 사용한다.

      • 豬血 -> 豬紅 : 돼지 선지
      • 鴨血 -> 鴨紅 : 오리 선지


      竿(降) -> 昇

      竿의 발음이 降와 비슷해서

      • 竹竿 -> 竹昇 : 대나무 장대

      으로 많이 대체해서 부른다.

      하지만
      "魚竿-낚시대"는 그대로 사용하고,
      요즘은 "竿"을 많이 기피하지 않는다.



      苦瓜 -> 涼瓜

      • 苦瓜 -> 涼瓜 : 여주

      "苦": 고생하다
      뜻 때문에 기피한다.

      광둥에서는 대부분 涼瓜으로 부른다.



      絲瓜(輸瓜) -> 勝瓜

      絲의 발음이 輸와 비슷해서

      • 絲瓜 -> 勝瓜 : 수세미외

      으로 대체해서 사용한다.

      하지만 "絲瓜" 외에
      絲를 대체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黃瓜 -> 青瓜

      • 黃瓜 -> 青瓜 : 오이

      여기서 기피하는 것은
      "黃"이 아닌 "瓜"이다.

      광둥어에서
      "瓜-죽다"의 뜻이 있다.

      "黃瓜"라고 하면
      "황씨인 사람이 죽다"로 들려서
      광둥에서는 "青瓜" 변경해서 사용한다.
      (광둥에는 青씨가 없기 때문에)



      伯母 -> 伯有

      • 伯母 -> 伯有 : 친구의 어머니

      "母"의 발음은 "冇-없다"와 같아서
      대체해서 사용할 때가 있다.

      광둥에서는 친구의 어머니를
      "伯母" 보다 "伯有"으로 많이 부른다.
      (홍콩은 보통 auntie를 사용)



      傘(散) -> 遮

      • 傘 -> 遮 : 우산

      "傘"의 발음이 "散-해어지다"와 비슷해
      遮으로 대체해서 사용한다.



      帆船(翻船) -> 𢃇船

      • 帆船 -> 𢃇船 : 돛단배

      "帆船"의 발음이
      "翻船-배가 뒤집힘"가 같아서
      𢃇船으로 말한다.



      四樓(死樓)

      숫자 4는 죽을 사(死)와 같다고 기피한다.
      중국 광둥성은 요즘 그대로 사용하지만,
      홍콩에서는 4층을 거의 볼 수 없다.

      보통은 F層 혹은 없는 경우가 많다.

      TMI으로 홍콩의 4층은 한국기준 5층이다.
      홍콩의 지상층은 G층 혹 L층이고
      지상에서 떨어진 한층부터 1층(一樓/一層)이다.




      예의식 혹 상대 배려

      이 또한 미신의 성분이 있다.
      보통은 상대에게 실례가 된다고 생각해
      돌려 말하는 형태들이다.



      M : 생리, 월경

      menstruation의 줄임말이다.

      • 嚟 M : 생리하다
      • M 巾 : 생리대

      처럼 돌려서 얘기한다.



      有咗 : 임신하다

      미신 이야기 때문에 有咗를 사용한다.

      임신을 한 것을 알면
      주변의 귀신들이 질투를 해서
      나쁜짓을 한다고 한다.

      그리고 악귀가 억지로
      윤회하려고 아기에 몸을 뺏을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懷孕"보다는 "有咗"를 많이 사용한다.



      房事 : 성행위

      임신과 같은 이유로
      귀신들이 알면 모여든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 외에도 그냥
      "性行為-성행위"라는 단어를 상스럽게 여기는 것 때문이기도 하다.



      壽木 : 관, 널

      棺材: 관, 널. 시체를 넣는 관이다.

      말하는 것을 꺼려해서
      壽木-수명 나무으로 많이 말한다.



      엉덩이

      "屁股"도 기피하는 단어이다.
      엉덩이의 뜻의 단어는 많다.

      籮柚, 噼噼, 囉噼

      籮柚은
      옛날에 엉덩이를 추석달에 비유했다.
      광둥은 추석에 碌柚(광둥 유자)를 먹는데,
      엉덩이 모양이 유자와 닮았다고
      "𦣇柚"으로 불렸던 것에서 유래했다.
      "𦣇"자는 벽자이어서 요즘은 "籮柚"으로 쓴다.

      噼噼은 PATPAT으로
      원래 귀저기 브랜드 이름이다.

      囉噼은 籮柚와 PATPAT의 합성어이다.



      대변, 소변

      대변, 소변은
      기피하고 하기는 애매하다.
      좀 예의가 필요한 자리에서
      方便 洗手으로 얘기한다.

      일본의 "お花摘みに行く-꽃을 따러 가다"와 비슷한 느낌이다.




      기피 선물

      선물을 할 때도
      물건의 이름 때문에
      기피하는 것들이 있다.



      鐘(終)

      "鐘-시계"의 발음은
      "終-끝나다"와 비슷하다.

      "送鐘-시계의 보내다(주다)"는
      "送終-임종을 지키다"와 발음이 같아서

      시계를 선물하는 것은
      상대를 저주하는 행위으로
      "나가 죽어라"라는 뜻을 가진다.



      梨(離)

      "梨-배"의 발음은
      "離-해어지다"와 비슷하다.

      이 또한
      "가족가 해어지다"의 뜻이 있어서
      가족 중 사망자가 나온다는 저주로 여긴다.



      鞋(嚡)

      "鞋-신발"은 "嚡"와 발음이 비슷하다.

      嚡는
      "표면이 거칠다",
      "한숨소리"의 뜻이 있다.

      신발을 선물하는 것은
      "내쫓는다", "한숨 나온다"의 뜻이 있어서
      신발 선물을 하지 않는다.

      TMI으로 표준어에서도
      鞋는 邪와 발음이 비슷해서
      북방 일부지역에서도
      신발 선물을 잘 안한다고 한다.




      뜻이 불긴한 단어 자체

      뜻이 불긴한 단어는 주로
      死, 鬼, 病가 있다.

      "死-죽다"는 보통
      去咗-"가셨다",
      瓜咗-"박이 되다"
      唔喺度-"안계신다"
      으로 대체한다

      "鬼-귀신"은 보통
      污糟嘢-"더러운 것",
      嗰啲嘢-"그것들"
      으로 대체해서 얘기한다.




      고대 황제명으로 변경

      여러가지가 있는데
      한개만 얘기해보면..

      24절기의 驚蟄(경칩)이 있다.
      원래 이름은 啟蟄이었다.

      한나라 황제 "漢景帝劉啟"의 이름을 피해서 변경된 명칭이다.




      이 외에도..

      위의 같은 내용 외에도
      광둥어에서는 욕의 발음을 변형해서
      조금 완화하는 문화가 있다.

      직접적으로 욕을 사용하지 않으면
      "욕을 하고 싶을 정도로 격한" 어조가 된다.


      위의 내용 외에도 더 있겠지만,
      지금 바로 생각나는 것은 여기까지이다.

      지역별로 사용하거나
      특정 가정에서 사용하는 단어가 있기도 해서
      따로 찾아보면 더 많이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Prev Post

      麻雀樂團 - 어린 여자를 좋아한다고 오해 받음

      홍콩 TVB의 麻雀樂團 영상보기. 젊은이를 어린이처럼 대해서 어린여자를 좋아한다고 오해받음

      Next Post >>

      vercel. Nodejs 22 이하 버전 지원 중지

      vercel에서 이제 Node.js 22 이하 버전을 지원 중지한다고 한다. 그 때문에 개발환경의 node.js를 업그레이드하면서 tailwindcss에서 문제가 많이 발생했다. next.js은 params를 전부 await하는 에러. tailwind는 작동 안됨, 다크모드 작동 안됨, typography 작동 안됨, 커스텀 작동 안됨 등의 문제가 있었다

      • 시작하면서

        ◉

      • 대체 한자/단어

        ◉

      • 空(凶) -> 吉

        ●

      • 肝(乾) -> 膶

        ●

      • 舌(蝕) -> 脷

        ●

      • 血 -> 紅

        ●

      • 竿(降) -> 昇

        ●

      • 苦瓜 -> 涼瓜

        ●

      • 絲瓜(輸瓜) -> 勝瓜

        ●

      • 黃瓜 -> 青瓜

        ●

      • 伯母 -> 伯有

        ●

      • 傘(散) -> 遮

        ●

      • 帆船(翻船) -> 𢃇船

        ●

      • 四樓(死樓)

        ●

      • 예의식 혹 상대 배려

        ◉

      • M : 생리, 월경

        ●

      • 有咗 : 임신하다

        ●

      • 房事 : 성행위

        ●

      • 壽木 : 관, 널

        ●

      • 엉덩이

        ●

      • 대변, 소변

        ●

      • 기피 선물

        ◉

      • 鐘(終)

        ●

      • 梨(離)

        ●

      • 鞋(嚡)

        ●

      • 뜻이 불긴한 단어 자체

        ◉

      • 고대 황제명으로 변경

        ◉

      • 이 외에도..

        ◉

        廣東話

      • 廣東話定義
      • 廣東話語法
      • 廣東話發音
      • 廣東話語氣助詞
      • 廣東話會話

        查字

      • 廣東話字典
      • 廣東話詞典

        博客

      • 廣東話會話
      • 中國故事
      • 編程
      • 日常

        About

      • 🐶DogKaeBi👻

      © DogKaeBi

      email: st9dog@gmail.com

      buy me a cof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