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gKaeBi
    粵 ▾
      기초개념기초문법발음표어기조사한자사전단어사전
    Blog
      About
      粵 ▾• 기초개념• 기초문법• 발음표• 어기조사• 한자사전• 단어사전
      Blog
      About
      광둥어 문법 - 피동 표현

      광둥어 문법 - 피동 표현

      광둥어의 피동은 被 보다 畀 을 더 많이 사용한다. 평소 구분없이 많이 사용하지만, 畀 는 행동주체를 생략할 수 없다.

      광둥어기초개념

      목차

      • 1. 被動句 광둥어 피동표현
      • 1.1. TMI1. 보통화와 거의 동일하다
      • 1.2. TMI2. 광둥어에 사동 표현은 없다

      관련 한자/단어

      被畀

      被動句 광둥어 피동표현

      광둥어의 피동표현인 被 畀를 사용한다.
      평소 구분없이 많이 사용하지만, 둘은 조금 차이가 있다.

      우선 발음이 다르고, 畀 bei2 被 bei6.
      구어체는 畀를 많이 사용하고,
      문어체로 被를 많이 사용한다.
      즉 평소 畀를 절대적으로 더 많이 사용하고, 被는 대부분 단어로 사용한다.

      사용법에도 차이가 있다.
      우선 기본 사용법 아래와 같다.

      주어 + 被/畀 + 행동주체 + 서술어(동사)

      我畀佢鬧 : 나는 그에게 혼나다
      佢被警察捉 : 그는 경찰에게 잡히다

      이 경우는 둘의 사용법은 같다고 본다.


      被는 행동주체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畀는 행동주체를 생략할 수 없다.

      佢被打 : 그는 맞다
      佢畀人打 : 그는 딴사람한테 맞다

      畀는 행동주체를 특정하지 않고 사람인 경우, 人으로 많이 사용한다.



      TMI1. 보통화와 거의 동일하다

      보통화에서도 [给]를 사용해서 피동으로 사용한다.

      다른점은 광둥어에서 畀는 행동주체를 생략할 수 없다는 점이다.
      원래는 被도 행동주체를 생략하지는 않는다. 생략했다는 것 자체로 이미 문어체 형식이다.


      TMI2. 광둥어에 사동 표현은 없다

      사동은 사람에게 행하는 동사이다.
      한국어의 "옷을 입히다" 가 사동이다.
      광둥어에는 사동의 개념은 없다.

      정확히는 "입는 것을 돕다" "입게 하다" 등의 방식만 있다.

      Next Post >>

      광둥어 문법 - 비교문

      광둥어의 비교문은 過를 많이 사용한다. 보통화와 같은 比를 사용해도 된다. 접속사를 사용하지 않고 형용사를 접속사로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 被動句 광둥어 피동표현

        ◉

      • TMI1. 보통화와 거의 동일하다

        ●

      • TMI2. 광둥어에 사동 표현은 없다

        ●

        광둥어

      • 광둥어 개념
      • 광둥어 문법
      • 광둥어 발음
      • 광둥어 어기조사
      • 광둥어 회화

        사전

      • 광둥어 한자
      • 광둥어 단어

        블로그

      • 광둥어 회화
      • 중국 이야기
      • 코딩
      • 일상

        About

      • 🐶독깨비👻

      © DogKaeBi

      email: st9dog@gmail.com

      buy me a cof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