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gKaeBi
광둥에서의 중의학 열기(熱氣)

광둥에서의 중의학 열기(熱氣)

열기(熱氣)는 중의학(中醫學)의 육음(六淫)의 일종으로, 몸에 열이 쌓여 병으로 발전하는 것을 말한다. 광둥의 기후 때문에 광둥인들은 각별히 더 주의한다

중국 이야기

목차

  • 1. 중의학, 육음, 열기
  • 2. 광둥 기후
  • 3. 열기 (熱氣) 증상
  • 4. 열기 (熱氣) 원인
  • 4.1. 실화(實火) vs 허화(虛火)
  • 4.2. 열기의 위치에 따른 증상
  • 5. 광둥 생활 습관
  • 5.1. 음식. 향신료가 적은 편
  • 5.2. 음식. 기름이 적은 편
  • 5.3. 음식. 차가운 음식을 피한다
  • 5.4. 음식. 하화탕(下火湯)
  • 5.5. 음식. 량차(涼茶)
  • 5.6. 음식. 거북젤리/자라젤리(龜苓膏)
  • 5.7. 음식의 속성을 열(熱) 한(寒)을 구분한다
  • 5.8. 마사지도 열을 내리는 풍습이다
  • 6. 마치면서

중의학, 육음, 열기

보통화에서는
대부분 "上火"라고 말한다.

한국의 한의(漢醫)는
중국에서 중의학(中醫學)으로 부른다.

중의학의 개념 중
육음(六淫)이라는 것이 있다.
병에 걸리는 원인을 얘기함으로
風寒暑濕燥火 이 있다.

열기는
날씨의 서(暑)로 인해
몸의 화(火)가 쌓이는 것과,

과로 혹 내상으로 인해
장기에 이상이 생긴 것을 뜻한다.




광둥 기후

《광동/홍콩 날씨편》에서 말했 듯,
광둥은 아열대 기후로,
연중 10개월이 25도를 넘는다.

평소 습도 또한 대부분 80% 이상이고,
비가 오는 날은 90%가 넘는다.

이런한 날씨 덕분에
농산물이 많고 식문화가 발달했지만,

동시에
"가만히 있어도 병 걸리는 지역"
이라고도 불린다.




열기 (熱氣) 증상

현대 의학과는 다른 추상 개념이다.

주로 나타나는 증상은

  • 눈 충혈 및 부음
  • 구내염
  • 치통
  • 입꼬리 트임
  • 인후통
  • 노란 소변
  • 미열
  • 오한

등등이 있다.

현대 의학으로 보면,
몸의 호르몬 등 변화로
염증이 쌓이면서 동반하는 증상들이다.




열기 (熱氣) 원인

깊게 얘기하면

  • 실화 實火
  • 虛火 虛火

가 있고...
증상에 따라서

  • 심화 心火
  • 폐화 肺火
  • 위화 胃火
  • 간화 肝火
  • 신화 腎火

가 있다.



실화(實火) vs 허화(虛火)

실화(實火)는
외부의 열이 몸에 침입하거나,
매운 음식과 튀김을 많이 섭취해서
정신 및 장기 기능 불순을 얘기한다.

중서(中暑:더위먹음) 또한
실화의 일종이다.


허화(虛火)는
내상의 상태에서 과로인 경우로,
내열로 인한 열기를 얘기한다.

밤을 세거나 과로를 할 때,
구내염이 생기는 현상도 여기 포함된다.



열기의 위치에 따른 증상

  • 心火-實 : 구내염, 잇몸통증, 입마름, 소변 붉은 빛, 쉽게 화가남
  • 心火-虛 : 미열, 오한, 답답함, 입마름
  • 肺火 : 헛기침, 가래, 피가래, 인후통, 목소리 갈라짐, 열기운과 오한
  • 胃火-實 : 위통 혹 불편, 입마름 및 쓴 느낌, 대변 건조, 혀 황태
  • 胃火-虛 : 기침, 식욕저하, 변비, 가스참, 혀 홍조, 혀 백태
  • 肝火 : 입마름 및 쓴 느낌, 입냄새, 두통, 어지러움, 눈 건조, 수면 불순, 덥다고 느낌, 화가 많이 남. 두꺼운 혀 백태
  • 腎火 : 어지러움, 이명, 탈모, 치아 흔들림, 수면부족, 체중저하, 허리 및 다리 저림 및 통증



광둥 생활 습관

열기(熱氣)에 대해서
과학적 근거를 의심하는 사람이 많지만,
실제로 현지에서 생활해보면
관리 유무에 따라서
몸상태가 많이 다르긴 하다.

동시에 주로
기후, 생활 습관, 음식물 등
으로 인한 증상으로
완전 건강과 무관한 것은 아니다.



음식. 향신료가 적은 편

광둥음식은 향신료가 적은 편이다.
정확히 말하면
제각각의 요리별
다른 향신료가 들어간 요리는 있지만,
여러 요리에 특정 한 종류의 향신료를 많이 사용하지는 않는다.



음식. 기름이 적은 편

이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도 많지만,
광둥은 우선 튀김요리는 있지만,
명절 혹 가끔 먹는 음식이고,
따파이당에서는 볶음 요리 위주이지만,
따파이당은 원래 건강하지 않는 음식으로,
먹고 나면 "자숙기간"을 가지는 편이다.

볶음밥, 볶음면도 유명한 요리이지만,
외식할 때 먹는 음식이지,
평소에는 다들 먹고 싶으면서도 참는 음식이다.



음식. 차가운 음식을 피한다

"열"이 물리적 뜨거움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차가운 음식도 몸에 안 좋다고 기피한다.

그래서 맥주를 상온에 마시는 사람도 많고,
30도가 넘는 날씨에도 뜨거운 음료를 많이 먹는다.



음식. 하화탕(下火湯)

말 그대로 몸의 열을 내리는 탕/국을 뜻한다.
소고기와 닭고기 모두 열이 나는 음식으로,
보통은 돼지로 끓인 탕이다.

광둥인은 탕을 마시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광둥인의 가정 식탁은 기본적으로
야채 1개, 요리 2개, 탕 1개이다.
2인 가정은 요리 1개를 한다.

보통
밥을 먹기 전 혹 후에 한 그릇 마신다.

국밥은 안좋게 본다.
국밥으로 먹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긴하다.
하지만 위장에 안좋다고 다들 하지 말라고 한다.



음식. 량차(涼茶)

열병을 방지하는 약차이다.
"차가운 차"가 아니다.

따파이땅이나 튀김음식을 먹은 날이면,
다들 량차집에 찾아거 량차를 사 마신다.

다들 王老吉/加多寶을 많이 생각하다.
이 둘은 광둥에서 량차라 부르기 애매하다.
량차의 원조격이 맞긴하지만,
시면에서 판매하는 것은
광둥인들은 그냥 "설탕물"이라고 부른다.

량차집에서 판매하는 량차를 마셔보면,
무슨맛이라고 하기 참 애매하다.
냄새가 너무 독특하고,
쓴맛이 너무 강해서,
마시는 것을 두려워 하는 아이들도 많다.

TMI으로
맥주는 찬 기운(涼) 음식이다.
그래서 맥주를 "鬼佬涼茶"으로도 부른다.
(외국인 량차)



음식. 거북젤리/자라젤리(龜苓膏)

이 또한 열을 내려주는 디저트 음식이다.

고대에는 거북이 성분이 들었으나,
지금은 보호종이어서 거북이는 안 들어있다.



음식의 속성을 열(熱) 한(寒)을 구분한다

광둥에서 음식을 먹을 때는,
대부분 일반인들이 식재료의 열/한을 고려한다.

리치(荔枝)의 경우 열 있는 음식이다.
보통 하루에 2~3개만 먹는다.

망고는 습(濕氣)한 음식이다.
이 또한 자주 먹지 않는다.

소고기 또한 열이 있는 음식으로,
평소 적게 먹는 편이다.

닭과 양은 보양식이나,
많으면 열로 변환된다고 말한다...

이 외에도
여주(苦瓜), 올방개(馬蹄)을
열을 내리는 요리로 많이 해 먹고..

복령(茯苓), 참마(淮山), 가시연밥(芡实)은
습(濕氣)을 빼주는 요리로 많이 사용한다.

바나나도 찬 기운(涼)의 음식으로,
열이 많으면 먹으면 좋다고 하지만,
여성한테는 안 좋다는 인식이 있다.



마사지도 열을 내리는 풍습이다

정기적으로 마사지를 받는 사람이 많다.

마사지, 부황, 침 등으로
몸의 열기와 습기를 배출할 수 있다고 한다.

몸에 열이 많을 수록
마사지를 받을 때 더 아프다고 하고,
몸에 빨간 자국들이 많이 남는다.




마치면서

入鄉隨俗 이라고 하면서도
받아 들일지는 개인 선택이라 본다.

실제로 많은 외국인이
처음 광둥에 와서 생활할 때,
이를 무시했다가 고생하는 것을 많이 봤다.

개인적으론
광둥에서 생활한다면
조금 주의하면 좋다고 생각은 하지만,

강요할 생각은 전혀 없기 때문에
개인적 판단하면 될 것이락 생각한다.

(하지만 일반 병원에 가도 열기에 대한 처방을 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