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gKaeBi
광둥어 - 처자이몐 단어

광둥어 - 처자이몐 단어

홍콩의 처자이몐 메뉴판을 보는 방법과 단어들

광둥어단어

목차

  • 1. 들어가면서
  • 1.1. 홍콩 처자이몐
  • 1.2. 메뉴판 예시
  • 2. 단어
  • 2.1. 처자이몐 기본재료
  • 2.2. 처자이몐 면 종류
  • 2.3. 처자이몐 소스 종류
  • 2.4. 처자이몐 국물 종류
  • 2.5. 처자이몐 기타
  • 3. 보충설명
  • 3.1. 소스명은 알면 도움된다
  • 3.2. 달날개 부위
  • 3.3. 魷魚 & 墨魚
  • 3.4. 麵筋
  • 3.5. 이체자, 대체자
  • 3.6. TMI. 瘦腸

들어가면서

한자 사전의 동록된 기본한자가 많아져서,
기본적인 개념의 단어를 정리하고,
단어 사전에 카테고리를 나눌 예정이다.




홍콩 처자이몐

처자이몐은 홍콩 특색요리이다.
1950년대 대량의 난민이 이주하고
길거리 음식이 유행하던 시대의 대표음식이다.

손님이 먹고 싶은 것을 직접 선택하는 면요리이다.
면 종류, 내용물, 소스, 국물을 결정할 수 있다.

車仔麵도 딤섬처럼
광둥어 발음이면 "체자이민"이겠지만,
한국 번역명은 "처자이몐"으로 많으 쓴다.



메뉴판 예시

文記車仔麵餐牌


단어

처자이몐 기본재료

車仔麵ce1 zai2 min6처자이몐
瑞士seoi6 si6홍콩식 스위트 소스 (스위스와 관련 없음)
雞中翼gai1 zung1 jik6닭날개의 중간 부분
瑞士雞翼seoi6 si6 gai1 jik6홍콩식 스위트 소스 닭날개
豬手zyu1 sau2족발 앞다리
魷魚jau4 jyu2오징어
上湯soeng6 tong1육수에 삶은 요리 (대부분 닭 육수)
花膠faa1 gaau1건조 부레 (광둥요리 중 고급 재료)
鹵水lou5 seoi2차우저우 간장 소스. 간장소스에 삶은 요리
豬大腸zyu1 daai6 coeng2돼지 대창
蠔油hou4 jau4굴소스 (진한)
蠔皇hou4 wong4굴소스 (연한)
小花菇siu2 faa1 gu1갓이 갈라진 작은 표고버섯
韭菜餃gau2 coi3 gaau2부추 교자
魚肉jyu4 juk6생선 고기. 대부분 생선 다짐
齋鹵味zaai1 lou5 mei2차우저우 소스 글루텐/미엔진 (정식명)
酸齋syun1 zaai1차우저우 소스 글루텐/미엔진
蘿蔔lo4 baak6
五香ng5 hoeng1오향가루
牛肚ngau4 tou5소 벌집양
柱侯cyu5 hau4불산 콩 소스
牛腩ngau4 naam5소 뱃살
牛孖根ngau4 maa1 gan1소의 힘줄
牛膀ngau4 bong2소 췌장, 이장
螺肉lo2 juk6소라
豬耳zyu1 ji5돼지 귀
柚皮jau2 pei2유자껍질 찜 (원래는 레스토랑에서는 새우를 넣는다)
豬腩zyu1 naam5돼지 뱃살
墨魚角mak6 jyu4 gok3오징어 몸통 튀김 (원래는 끝부분이지만 현재는 몸통)
白菜餃baak6 coi3 gaau2배추 교자
西洋菜餃sai1 joeng4 coi3 gaau2물냉이 교자
魚皮餃jyu2 pei2 gaau2생선 만두피 교자
魚腐jyu4 fu6어묵, 피쉬 케이크
豬紅zyu1 hung4돼지 선지
豬皮zyu1 pei4돼지 껍질
鳳爪fung6 zaau2닭발
牛百葉ngau4 baak3 jip6천엽
魚片頭jyu4 pin2 tau4생선 다짐 튀김
芝士腸zi1 si2 coeng2치즈 소시지
溏心蛋tong4 sam1 daan2반숙 삶은 계란
豬油渣zyu1 jau4 zaa1돼지 건육 (기름을 빼고 남은 고기)
炸魚皮zaa3 jyu4 pei4생선 껍질 튀김
雞翼尖gai1 jik6 zim1닭날개 끝. 윙팁
雞腎gai1 san2닭 콩팥
八爪魚baat3 zaau2 jyu4문어
haa1새우
腐皮卷fu6 pei4 gyun2두부피 말이
魚腐皮jyu4 fu6 pei2어묵 (한구식 얇은 어묵)
豆卜dau6 pok1유두부. 중국식 유부
生根saang1 gan1글루텐 튀김, 미엔진 튀김
枝竹zi1 zuk1부죽. 막대기처럼 만든 두부피
麵筋min6 gan1글루텐, 미엔진
金針菇gam1 zam1 gu1팽이버섯
鮮竹粒sin1 zuk1 nap1두부피 볼
筍絲seon2 si1순사. 죽순 채
蟹柳haai5 lau5게맛살
魚蛋jyu4 daan2피쉬볼
芝心丸zi1 sam1 jyun2치즈 피쉬볼
龍蝦丸lung4 haa1 jyun2랍스타 피쉬볼
蟹子丸haai5 zi2 jyun2게살 피쉬볼
墨丸mak6 jyun2오징어 피쉬볼
貢丸gung3 jyun2돼지 완자
牛丸ngau4 jyun2소고기 완자
紅腸hung4 coeng2빨간 소시지 (리투아니아인이 하얼빈에서 개발한 소시지)
腸仔coeng2 zai2소시지
通菜tung1 coi3공심채
榨菜zaa3 coi3자차이 (식물 이름. 대부분 사천식 자차이 절임으로 먹음)
紫菜zi2 coi3
菜心coi3 sam1초이삼
韭菜gau2 coi3부추
菠菜bo1 coi3시금치
生菜saang1 coi3상추
西洋菜sai1 joeng4 coi3물냉이


처자이몐 면 종류

油麵jau4 min6노란 면. 아부라 소바
米粉mai5 fan2쌀국수
粗麵cou1 min6굵은 밀면
幼麵jau3 min6얇은 밀면
米線mai5 sin3얇은 쌀국수
河粉ho2 fan2넓은 쌀국수
公仔麵gung1 zai2 min6인스턴트 라면
出前一丁ceot1 cin4 jat1 ding1데마에잇초
拉麵laai1 min6라면, 수타면
烏冬wu1 dung1우동
番薯粉faan1 syu2 fan2고구마가루 넓은 면
銀針粉ngan4 zam1 fan2짧은 쌀국수. 중간이 굵고 끝이 얇은 5~6cm
瀨粉laai5 fan2굵은 쌀국수
生麵saang1 min6얇은 계란면


처자이몐 소스 종류

咖喱gaa3 lei1카레
沙嗲saa3 de1사테
麻辣maa4 laat6마라


처자이몐 국물 종류

腩汁naam5 zap1소뱃살 소스
瑞士汁seoi6 si6 zap1홍콩식 스위트 소스
清湯cing1 tong1일반 국물
走湯zau2 tong1국물 없음


처자이몐 기타

蔥花cung1 faa1잘게 썬 파
瘦腸sau3 coeng2(?) 비계 없는 돼지 대창



보충설명

소스명은 알면 도움된다

瑞士汁
홍콩식 스위트 소스로
간장, 생강, 파, 빙탕(冰糖)이 주 재료이다.


滷汁
鹵水 滷水 鹵汁 滷汁 鹵水汁 등으로 부른다.
차우저우식 알칼리성 간장소스이다.
간장, 육수, 각 향신료와 중약(中藥)으로 만든다.
소스에 음식을 삶는 용도이다.


蠔油 & 蠔皇
둘 다 굴소스이다.
요즘에는 둘을 구분 안하는 사람도 많다.

蠔油은 진한 굴소스로
굴 맛을 내는 용도로 사용한다.

蠔皇은 연한 굴소스로
재료의 맛을 돋보이는 용도이다.


柱侯
柱候醬으로 부른다.
불산(佛山)의 콩소스로,
불산인 梁柱侯가 개발한 소스이다.

콩, 간장, 깨 등으로 만든 소스으로,
된장과 두반장과 비슷한 느낌도 조금 있다


五香
정석은 화초, 팔각, 계피, 정향, 소회향 이다.
하지만 다른 조합도 많다.
향신료에 익숙하지 않은 한국인들은 싫어하는 경우를 많이 봤다.


咖喱
말 그대로 카레이지만,
광둥이나 홍콩에서 카레라고 하면
동남아식 카레인 경우가 많다.
코코넛맛이 나고, 약간 매운맛이 난다.


沙嗲
사테소스.
동남아시아의 땅콩소스의 일종이다.
광둥요리에서 많이 사용한다.


麻辣
사천식 마라소스이다.
매움보다 "마"맛이 중요한 소스이다.


上湯
보통 닭과 소시지 육수이다.
해당 탕에 재료를 넣어 끓인 요리이다.


清湯
원래 중식에서는
콩나물, 무, 셀러리, 표고버섯으로 끓인다.
서양식(중국식 양식)에서는 추가로 고기를 첨가한다.
요즘은 대부분 서양식이다.


腩汁
소고기 뱃살을 끓인 국물/소스이다.
불산 콩소스, 굴소스 및 각종 약재를 넣고
소고기 뱃살을 삶은 국물 겸 소스이다.



달날개 부위

중국에서는 닭날개를
雞槌, 雞中翼, 雞翼尖
3개의 부위로 구분해 사용한다.



魷魚 & 墨魚

한국에서는 둘 다 "오징어"이지만,
중국에서는 머리의 형태에 따라 구분한다.

머리 지느러미가 삼각이면 魷魚이고,
머리 지느러미가 없거나 둥글면 墨魚이다.

이런식으로 한국어는 구분이 없거나
아예 종류가 없는 단어들이 조금 있다.

"만두"도 중국에서는
餛飩, 餃子, 包 으로 구분하지만,
한국은 모두 "만두"로 부른다.

표고버섯 또한
香菇, 冬菇, 花菇, 香信 등,
형태 혹 재배시기에 따라 구분하기도 한다.



麵筋

미엔진이라고 하면
북방의 미엔진 꼬치를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미엔진/글루텐은
시장의 두부 가게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식자재이며,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한국에서는 꼬치류인 소시지 형태를 많이 연상한다.
광둥에서는 보통 어묵/두부 형태와 유부두 모양을 연상한다.

한국에서는
미엔진 꼬치 때문에
불량식품으로 생각하는데,

중국에서는
채식요리이기도 하고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이다.

하지만
튀김을 싫어하는 광둥인들은
튀긴 미엔진 같은 요리는 불량식품으로 본다



이체자, 대체자

메뉴판 이미지를 보면 알 수 있는데,
이체자나 대체 한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원래 홍콩에서는 자주 보는 현상으로,
길거리 간판도 이체자인 경우가 많다.

  • 韭菜 : 韮菜
  • 番薯 : 蕃薯
  • 筍絲 : 笋丝
  • 麵筋 : 麵根
  • 溏心蛋 : 糖心蛋

"生根"도 원래 "生筋"이 맞지만,
"生根"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MI. 瘦腸

文記車仔麵 에서,
비계를 싫어하는 사람들을 위해
비계가 적은 부분이나,
비계를 제거한 대창이라고 한다.

文記車仔麵은 미쉐린 가이드 매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