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tonese
粵
중국 광동 방언. 홍콩과 마카오의 공식 언어
광둥어 정의
광둥어의 정식명칭은 「粵語」(월어) 이며, 평소 「廣東話」(광동화)로 많이 부른다.
광둥어(廣東語)는 한국 번역 명칭이다. 광'동'어로 잘못 부르는 사람이 많다.
관련 블로그 :<광둥어 정의 및 명칭>
관련 블로그 :<광둥어 정의 및 명칭>
방언(方言) 정의 : 지역언어
▼
방언에 대한 오해가 많다.
광둥어는 방언이다. 보통화 또한 방언이고, 서울말도 방언이다.
방언은 '지역언어'의 뜻으로 언어를 지역으로 구분한 갈래를 뜻한다.
한국어의 '지역'은 '외지', '수도가 아닌'으로 사용해서 오해를 하는 경우가 많다.
관련 블로그 :<방언과 사투리>
관련 블로그 :<방언과 사투리>
광둥어 인구 : 4천만 ~ 1.2억
▼
광둥어 종류 : 8개 편(片)
▼
광둥어는 큰 언어 체계로 하위 8개 편(片)이 있다.
廣府片, 四邑片, 羅廣片, 勾漏片, 高陽片, 邕潯片, 欽廉片, 吳化片
일반적으로 광둥어는 광부편을 뜻한다.
관련 블로그 :<광둥어 종류>
관련 블로그 :<광둥어 종류>
광둥어 발음 : 월음(粵音)
▼
월음(粵音)이라고 한다.
성모 19개 + 운모 57개 (운복 9개, 운미 8개)
총 646개 발음이 있다. (한국어는 이론적으로 398억 개)
9성6조로, 성조는 6개이다.
관련 블로그 :<광둥어 발음 및 성조>
관련 블로그 :<광둥어 발음 및 성조>
광둥어 한자 : 없다
▼
광둥어 한자는 없다.
정확히는 애매한 표현이어서 없다고 한다.
광둥어에서만 사용되는 한자를 광둥 한자라고 하지만,
실제 광둥에서만 사용되는 한자는 없다.
광둥에서 다른 지역과 뜻이 다르게 사용되는 한자가 있다.
관련 블로그 :<광둥어 한자>
관련 블로그 :<광둥어 한자>
광둥어 번체vs간체 : 모두 사용한다
▼
광둥어은 번체(繁體), 간체(簡體)를 다 사용할 수 있다.
광둥어는 언어이지 문자가 아니다.
동남아시아는 간체자를 공식으로 사용해서 대부분 간체자로 광둥어를 쓴다.
정치 감정 때문에 번체자 사용을 고집하는 사람이 좀 있지만,
간체자 또한 정부에서 만든 문자는 아니다.
관련 블로그 :<광둥어 한자>
관련 블로그 :<광둥어 한자>
번체의 오해 : 원래 한자가 아니다
▼
현시대에 사용하고 있는 번체자는
대부분 컴퓨터 입력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원래문자 혹 광둥 문자와 다른 경우가 많다.
컴퓨터의 초기 한자 등록은 대만에서 주도해서
대만의 한자를 기준으로 등록되었다.
현재 일부 폰트에서는 원래 한자가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원래 한자 혹 광둥 한자를 별도로 추가 등록한 경우도 많다.
이런 원래 글자도 "이체자(異體字)"로 취급한다.
예시) 번체자-虛 는 원래 虚의 이체자이다.
즉 반대로 간체자 "虚"가 원래 한자이다.
원래 홍콩, 마카오도 손글씨로는 "虚"으로 쓰지만,
컴퓨터 입력법에서 "虛"로 나와서 혼란이 좀 있다.
광둥어 이체자
▼
이체자는 같은 한자를 다르게 쓴 경우이다.
한자가 보급되면서 지역별로 다르게 쓰거나,
지역에서 필요한 한자를 따로 만들어서 생겼다.
대부분 간체자는 이체자 혹 필기체에서 유래한다.
이체자는 같은 뜻이 아닐 때도 있다.
대체자의 경우도 이체자로 분류하기 때문이다.
관련 블로그 :<이독자 이체자>
관련 블로그 :<이독자 이체자>
광둥어 이독자
▼
이독자는 같은 한자의 같은 뜻을 다르게 발음하는 경우이다.
일반적인 변조 규칙의 경우가 있고...
민간 발음, 구어체/문어체 발음, 지역 발음..
중에서 사전에 등록된 것이 이독자로 분류한다.
관련 블로그 :<이독자 이체자>
관련 블로그 :<이독자 이체자>
보통화/대만국어 도움되는가?
▼
도움이 많이 된다.
우선 보통화와 대만 국어(國語)는 비슷하지만 다른 언어(같은 방언)로 본다.
보통화를 알면 대만 국어를 배우기 쉬운것과 비슷하다.
중국어(방언)끼리는 모두 약 90% 개념을 공유한다.
문법과 단어, 같은 한자에 대한 뜻을 대부분 공유한다.
한자를 알면 일본어를 배우는데 도움이 되는 것과도 비슷하다.
다른 외국어를 해도 광둥어 학습에 도움이 된다.
언어를 2개하는 사람은 모어에 한정해 언어를 대조하지 않아서, 제3언어를 배우는 것이 유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