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홍콩의 휴일
중국과 홍콩의 공휴일과 연차 등 휴일 규정에 대해서
중국 이야기목차
시작하면서
요즘 어쩌다 보니 계속 공휴일 얘기를 하고 있다...
다음주 홍콩은 따로 휴일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중국의 경우 노동절로 인해 주말 조절을 해서,
토요일(26일)은 휴일이지만,
일요일(27일)은 근무일이다.
중국 휴일
기본 주간 근무일 5일 & 6일
중국은 사무직과 서비스직은 기준이 다르다.
아예 법적인 규정 자체가 다르다.
- 사무직 : 주 5일 근무
- 서비스직 : 주 6일 근무
휴일 초과근무비
초과근무은 1.5배 시급을 지급해야 하고,
주말근무는 2배 시급으로 계산한다.
공유일은 3배 시급을 줘야 한다.
하지만 위에서 얘기한 것처럼,
서비스직은 주 6일이다.
주간에 휴일 없이 일하면 1일을 2배로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서비스직은 "주말" 개념이 아닌, 주간 1일 휴무이다. 근로계약서에 특정 요일이 휴무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 휴일은 회사 규정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공휴일 주말 조정
중국은 휴일들이 긴편이다.
이유는 여러번 얘기했는데, 땅이 커서 이동시간이 길기 때문이다.
공휴일에 고향에 가는데, 열 시간 이상 소요되는 것이 이상하지 않은 곳이다.
요즘 아무리 고속열차가 빠르다고 해도, 노선이 없는 곳은 많다.
때문에...
주말을 조절해서 공휴일에 붙여서 휴일을 정하는 편이다.
이번 노동절의 경우
- 4/26(토) : 주말
- 4/27(일) : 근무
- 4/28(월) ~ 4/30(수) : 근무
- 5/1(목) : 공휴일
- 5/2(금) : 공휴일
- 5/3(토) : 주말
- 5/4(일) : 주말
- 5/5(월) : 대체 주말
위에 처럼,
다음주 일요일을 노동절 다음 월요일에 붙였다.
공휴일은 5/1, 5/2 이틀이다.
5/3~5/5는 주말휴일이다.
즉 초과수당은
1~2일에 근무를 하면 3배이고,
3~5일에 근무를 하면 2배이다.
하지만 서비스직이 주 6일이기 때문에 방식이 다르다.
실제 공휴일인 5/1, 5/2은 동일하게 3배 초과수당을 지불해야 한다.
3~5일 주말의 경우...
우선 주 6일 근무로, 4/26을 포함해서 4일이 아닌 이틀 휴일이 있다.
전 주에 이미 주말 휴식을 했을 것으로, 노동절에 남은 주말 휴일은 1일일 것이다.
해당 주간(노동절) 휴무일이 꼭 3~5일에 있다는 보장도 없다.
사무직의 경우는 주 5일 근무이지만,
대부분 회사에서 대체휴무는 가능하다.
단 회사가 맘대로 주말 휴무를 변경시키는 것은 불법이다.
일반적으로 근로계약서에 주말휴일이 명시되어 있고, 없다면 노동법에 의거해서 주말휴일을 보장해야 한다. 근로계약서가 뭐라고 쓰던, 중국 노동법을 능가할 수 없다.
대체휴무는 꼭 필요한 근무와 직원과 협의된 경우만 가능하다.
연차 (유급휴가) 및 기타휴가
중국은 연차가 적은 편이다.
- 1~10년 근무 : 5일
- 10~20년 근무 : 10일
- 20년 이상 : 15일
원래 법적으로 15일 이상이 "금지"되어있다.
근무한 기간은 한 회사가 아닌 누적으로 계산한다.
연차는 적지만,
연차가 없어도 그냥 휴가를 낸다.
중국의 월급을 일당으로 계산하는 편이다.
예시로 만약 월급이 10000위안이고,
당월 근무일이 21일이면 약 476위안/일,
당월 근무일이 22일이면 약 454위안/일이다.
연차가 없어서 그냥 휴가를 내면
위의 금액이 삭감되어 지불된다.
병가의 경우 1/2 혹 1/3 월급을 주는 곳이 많다.
중국에서는 초보 사장님이 아니라면, 월급 계산식은 매우 복잡하게 조합한다.
이유는 초과근무 수당, 병가 유급휴가 때문이다.
예시로 만약 월급이 10000위안 이라면
기본 급여가 5000위안이고,
나머지 5000이 보조금인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근무일 20으로 계산해보면
- 1만. 병가 : 10000/20 ⨉ 50% = 250위안
- 5천. 병가 : 5000/20 ⨉ 50% = 125위안
- 1만. 주말근무 : 10000/20 ⨉ 2 = 1000위안
- 5천. 주말근무 : 5000/20 ⨉ 2 + 보조금(5000/20) = 750위안
보조금은 식비, 교통비, 통신비 등,
여러 항목이 있고, 이에 보험 및 주거금(五險一金)을 더하면 월급계산서가 꽤 복잡하게 나온다.
전부 소모하지 않은 연차는 일급으로 주거나 다음연도에 사용한다...
이라고는 하지만 조금 애매해서 설명을 더 해보면...
우선 연차가 남는 일은 거의 없다.
연차 수량이 많지 않고,
연차를 남겨두는 사람도 별로 없다.
1년중 건강검진, 치과진료, 가족행사, 집안일 등을 지내고 나면 연차는 이미 전부 소모해있다.
회사도 귀찮은 상황을 피하기 위해, 전부 사용하게 한다.
법적으로 보상을 하거나 다음해에 추가해야 한다.
이를 소멸하는 회사가 많았는데, 고발하면 무조건 300% 보상 및 벌금을 내야한다.
얼마나 잘 지키나?
솔직히 잘 지키는 편이다.
가끔 그런 회사가 어디있냐고 징징대는 중국인들이 있긴 한데, 악덕 회사 한곳만 다녔거나, 그런 분위기의 동네에서 살고 있는 경우가 많다.
중국도 대도시에 많은 것이 모여있어서, 타지를 기준으로 말하기가 애매하다.
동시에 나라가 너무 크기 때문에, 대도시만 기준으로 말하기도 애매하다.
실제 분위기는 본인이 있는 도시에서 구분을 해야하지만, 중국은 사회주의국가로 오히려 노동자의 권리를 중시하는 문화가 있다.
만약 법을 어겨서 노동국에 신고 당하면 회사에 피해가 막대하고, 직원 5명이 연합 신고를 하면 회사 운영이 중단되고 대규모 조사가 실행된다.
회사가 이유 없이 근로자에게 피박하는 일은 적은 편이다. (정확히는 해도 조심히하는 편이다)
어디든 동일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은
공휴일 3배 수당은 준다.
홍콩 휴일
기본 주간 근무일 5.5일
5일 근무도 있지만,
홍콩은 대부분 5.5일이다.
5.5일 방식은
- 토요일 반일 근무
- 격주 토요일 근무
대부분 위의 방식을 사용한다.
홍콩의 공휴일
홍콩 공휴일은 특별한 점이 없다.
공휴일이 분산되고 많은 편이다.
(GovHK 홍콩정부 지정 공휴일 참고)
이번 노동절의 경우도 5/1(목)만 휴일이다.
토요일 근무자도 있기 때문에,
그저 중간에 쉬어가는 느낌일 뿐이다.
홍콩의 연차
홍콩의 연차는 딱 어떻다고 얘기하기 어렵다.
법적으로는 한국의 방식과 비슷한데...
원래 근무하고 1년뒤에 생기고, 7~14일이 규정이다.
1~2년차는 7일. 이후 매년 1일 추가된다.
9년차 최대치 14일이다.
주 18시간, 4주 이상 일하면 연차가 생긴다.
하지만 이를 따르는 회사는 거의 없다.
주 5.5일 근무하는 만큼, 연차를 더 많이 주는 편이다.
내 친구들이 처음 입사할 때, (15년전)
대부분 10~15일 연차를 받고 시작했다.
지금은 다들 16~20일 정도 연차를 받는다.
중국은 법적으로 근무기간이 누적계산하고,
홍콩은 법적은 아니지만 누적계산한다.
법이 7~14일이고 누적계산이 아니어서,
몇 회사가 법적으로만 주는 경우도 있는데,
채용 메리트가 없어 외국직원 위주 회사가 많다.
홍콩도 소모하지 않은 연차는 다음해에 추가하거나 돈으로 환산해 줘야 한다.
덕분에 내 친구 중에 집에서 게임만이 취미인 얘들은 현재 50일이 넘는 연차가 있다.
(이런 얘들도 밤새 게임으로 연차를 소모한다)
홍콩의 '자본주의'
홍콩의 법은 기업이 유리하게 되어있다.
법을 보면볼수록 자본주의적 체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오히려 그래서일까?
아니면 문화가 받으면 돌려주는 문화 때문일까?
서로가 힘든지 알기 때문인지,
적당하게 법 이상으로 잘해주는 편이다.
회사 주말에 행사가 있어서
직원이 추가업무를 해야하는 상황이면,
법적 보상 외에, 홍빠오를 주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근로자 보다는 기업이 유리하다.
마치면서
이상 중국과 홍콩의 연휴와 연차에 대해서 알아봤다.
근로조건과 환경은 지역이나 나라별 다르다기 보다, 그냥 기업마다 다르기 때문에 어떻다고 말하는 것은 사실 큰 의미가 없을 수 있다.
중국과 홍콩 모두 법치를 위주로 하기 때문에, 법을 위반하지 않는 선에서 인도적이면 정상이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