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둥어 - 집, 방 단어
광둥어의 집, 집 구성 및 방에 대한 단어
광둥어들어가면서
한자 사전의 동록된 기본한자가 많아져서,
기본적인 개념의 단어를 정리하고,
단어 사전에 카테고리를 나눌 예정이다.
방 & 건물 단어
屋企 | uk1 kei2 | 옥 케이 | 집 |
鄰居 | leon4 geoi1 | 론 꼬이 | 이웃, 옆집 |
鄰舍 | leon4 se5 | 론 쎄 | 이웃, 옆집 |
大門 | daai6 mun4 | 따이 문 | 대문 |
花園 | faa1 jyun2 | f아 윈 | 정원, 마당 |
圍欄 | wai4 laan4 | 와이 란 | 울타리 |
圍墻 | wai4 coeng4 | 와이 쳥 | 담벽 |
樓梯 | lau4 tai1 | 라우 타이 | 계단 |
電梯 | din6 tai1 | 띤 타이 | 엘리베이터 |
𨋢 | lip1 | 립 | 엘리베이터 |
墻 | coeng4 | 쳥 | 벽 |
柱 | cyu5 | 취 | 기둥 |
門 | mun4 | 문 | 문 |
窗 | coeng1 | 쳥 | 창문 |
天花板 | tin1 faa1 baan2 | 틴 f아 반 | 천장 |
地板 | dei6 baan2 | 데이 반 | 바닥 |
踢腳板 | tek3 goek3 baan2 | 텍 격 반 | 걸레받이 |
入口 | jap6 hau2 | 얍 하우 | 입구 |
門廳 | mun4 teng1 | 문 텡 | 현관 |
走廊 | zau2 long4 | 자우 렁 | 복도 |
大廳 | daai6 teng1 | 따이 텡 | 거실, 마루 |
飯廳 | faan6 teng1 | f안 텡 | 식사실, 디닝룸 |
廚房 | cyu4 fong2 | 취 f엉 | 주방 |
廁所 | ci3 so2 | 치 소 | 화장실 |
浴室 | juk6 sat1 | 욕 쌋 | 욕실 |
睡房 | seoi6 fong2 | 써이 f엉 | 침실 |
主人房 | zyu2 jan4 fong2 | 쥐 얀 f엉 | 안방, 주인방 |
客房 | haak3 fong2 | 학 f엉 | 객실 |
書房 | syu1 fong2 | 쒸 f엉 | 서재 |
遊戲房 | jau4 hei3 fong2 | 야우 헤이 f엉 | 오락방 |
天台 | tin1 toi2 | 틴 터이 | 옥상 |
陽台 | joeng4 toi4 | 영 터이 | 베란다 |
地庫 | dei6 fu3 | 데이 f우 | 지하실 |
閣樓 | gok3 lau2 | 걱 라우 | 다락방 |
보통화와 다른 이름
屋企
vs 家 : 집天台
vs 屋顶/顶楼 : 옥상𨋢
vs 电梯 : 엘리베이터門廳
vs 玄关 : 현관飯廳
vs 食堂/餐厅 : 식당睡房
vs 卧室 : 침실地庫
vs 地下室/负层 : 지하실踢腳板
vs 踢脚线 : 걸레받이
표준어에서도
门厅, 饭厅,睡房 을 사용하는 지역도 있다.
電梯 & 𨋢
𨋢
을 사용하는 사람은 많이 못 봤다.
대부분 lift으로 쓴다.
電梯
는 엘리베이터 뿐이 아닌 에스컬레이터를 포함한 단어이다.
걸레받이 & 천장몰딩
약간 인테리어 용어이어서,
기사님별로 다르게 얘기하는 경향이 있다.
걸레받이는 일반적으로
생활에서도 많이 사용되서
대부분 踢腳板
을 사용한다.踢腳
踢腳線
으로 말하는 경우도 있다.
천장 몰딩은 평소 대화에서는 사용이 적다.
통일된 단어가 없어서天花線
頂棚線
頂角
角線
線板
...
개인적으로 인테리어를 많이 해봤는데,
진짜 많은 명칭을 들어봤다.
天台 & 天體
전혀 다른 발음이지만,
말장난으로 둘을 발음하는 경우가 있다.
天體
는 천연 행사, 즉 나체 활동을 뜻한다.
그래서 天台
를 나체로 옥상에 있다는 뜻으로 사용할 때가 있다.
門廳 & 玄關
둘 다 현관이라는 뜻이지만
한국의 일반적 현관의 개념과 다르다.
광둥에서는 門廳
을 더 많이 사용한다.玄關
도 알아듣지만 약간 문어체이다.
옛날 광둥집은
내부 현관이 있는 경우가 적었다.
외부 현관에서 신발을 벗고
집안으로 들어가는 형태이었다.
이게 현대 아파트 형식으로 변화하면서,
아파트 내부에도 "현관"이 없는 경우가 많다.
현관 개념은 있기 때문에,
일부 가정에서는 별도 인테리어를 해서
현관 (중문)을 만들기도 한다.
TMI으로
중국에서 실내 신발 착용여부는
일반적 현 상황은 반반이고,
전통적이라면 안 신는다고 보는 편이다.
집에서 신발을 신기 시작한 것은
개혁 이후 노동인구 대이동으로
기숙사 생활을 하면서 생긴 문화이다.
가정집에서는 실내화를 신는다.
실내에서 신발은 신는 것은
해당 집을 집이 아닌 기숙사로 생각하거나,
내집이 아니어서 막 사용하는 경우이다.
아예 농촌 초가집 경우 신발을 신기도 한다.
전통집의 경우,
위에 설명처럼 위부에 현관이 있고,
손님이 들어오는 정원과 접대하는 부분까지 신발을 신는 경우도 많다.
이게 시기와 상황에 따라서 많이 다르기 때문에
"원래 중국은 실내 신발을 신는다"
"원래 중국은 실내 신발을 안 신는다"
라고 말하는 거 모두 정답이 아니다.
삼국지에서도
조조에게 황개가 투항한 척 했을 때,
조조가 신발을 신는 것도 잊어버리고 뛰어나와 반겼다라고 나온다.
초등학생 때부터 많은 친구집에 방문해봤지만,
자기 집에서 신발을 신는 건 개인적 본적이 없다.
기숙사 생활을 하는 가정의 경우 신발을 신는 것은 본적이 있다.
추가로 광둥에서 실내에서 맨발도 보기 힘들다.
광둥은 습한 기후로, 바닥은 보통 타일로 되어있다.
맨발로 다니기는 발바닥이 시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