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gKaeBi
虛擬情人 - 임자있는 남자

虛擬情人 - 임자있는 남자

마실 것 서비스를 원천 차단하는 임자있는 남자의 아내. 홍콩 TVB의 虛擬情人의 쇼츠 영상보기

广东话视频虛擬情人

목차

  • 1. 영상
  • 2. 대화내용
  • 3. 보충설명
  • 3.1. 唔好意思 vs 對唔住
  • 3.2. 唔好意思 반복
  • 3.3. 호칭 小姐, 先生
  • 3.4. 小姐
  • 3.5. 唔該 vs 多謝
  • 3.6. 嘢 + 동사 : ~하는 것
  • 3.7. 話事

영상

정지 중




대화내용

  • D : Dickson
  • 女 : 女侍應
  • 雨 : 小雨

D: sorry 啊,唔好意思啊,小姐。唔好意思
죄송합니다, 죄송합니다.

女: 唔緊要
괜찮습니다

D: 唔好意思唔好意思,我幫你呀
죄송합니다. 제가 도와드릴게요

女: 唔該
감사합니다

D: 唔好意思啊
진짜 죄송합니다

女: 唔該晒
감사합니다

女: 先生
저기요

女: 你咁好人,不如我請你飲杯嘢啊
선생님이 너무 친절하셔서, 제가 음료를 하나 사드릴게요

雨: 我要杯西班牙果酒呀
그러면 상그리아 한잔요

雨: 我係佢老婆
저는 이 사람 와이프입니다

雨: 杯嘢飲送去嗰張枱得喇
음료는 저기 테이블에 두면 돼요

D: 係呀,我老婆話事得喇
맞아요. 제 와이프 말대로 해주시면 돼요




보충설명

  • 唔好意思 : 죄송합니다
  • 小姐 : 아가씨, 여사님. 여성의 존칭
  • 先生 : 선생님. 남자의 존칭
  • 唔該 : 감사합니다
  • 嘢 : 물건, 것
  • 話事 : 결정하다. 담당하다


唔好意思 vs 對唔住

唔好意思 직역은
"좋지 않게 했다" "실례하다" "폐를 끼치다" 이다.

많이들 對唔住 보다 약한 사과라고 한다.
반은 맞다고 볼 수 있다.
현지인들은 직역적 뜻을 이해하기 때문에,
두 단어의 느낌이 다르다.

對唔住은 '대하지 못하다'으로
직역하면 "면목없습니다"와 비슷하다.

정확한 표현은 아니지만
對唔住은 자신의 잘못에 대한 사과 느낌이고,
唔好意思은 실수나 폐를 끼친 것에 사과 느낌이다.

언뜻보면 차이를 느끼기 어렵다.
언어적 문화 차이 때문에,
많이들 약한 사과와 중대한 사과로 설명한다.
이 설명도 어느 정도는 맞는 말이다.
對唔住은 "면목이 없습니다"이기 때문에,
그렇게 깊게 상대에서 상처를 주거나,
상대와의 교류가 깊거나 영향이 많을 때 사용된다.
唔好意思은 의도치 않은 결과나
상대를 불쾌하게 했으나 손실/상처까지는 아닌 경우가 많다.



唔好意思 반복

영상에서 唔好意思 이 많이 반복된다.

미안하다는 표현을 여러번해서
'많이 미안하다'는 뜻처럼 사용되기도 한다.

D: sorry 啊,唔好意思啊,小姐。唔好意思

처음 sorry로 얘기했다가
sorry는 듣는 사람에 따라서는
가볍게 느낄 수 있기 때문에
唔好意思으로 추가한 느낌이 있다.

그리고 상대를 호칭을 추가해서
예의를 갖추며 대상을 확실히 하고
다시 한번 사과하는 문장으로 이해할 수 있다.



호칭 小姐, 先生

대화에서 상대를 부르는 것은 예의 화법이다.
여러번 언급하고, 영상에서 많이 나오는데,
상대의 호칭을 부르고,
대화 중간에도 언급하며,
인사말 대신 호칭을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웨이터와 "대화"할 상황이 아니어서
따로 호칭을 붙이는 일은 없지만,
영상의 경우는 서로 부디치고,
사과를 하는 대화가 있기 때문에
상대를 불려준다고 볼 수 있다.



小姐

보는 것처럼
광둥어에서 小姐는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보통화에서는 "술집여자"의 뜻으로 많이 사용되서
요즘 사용하지 말라고하는 경우가 많지만,
광둥어에서는 일반적인 단어이다.

홍콩에서도 '술집여자'의 뜻은 있다.
그저 평소에 그 뜻으로 받아드리지 않는다.

비유적 단어가 많아서 별 신경 안쓰는 부분도 있고,
그런 말 때문에 원래 단어를 변경하는 것을 유치하다고 여기기도 한다.
반대로 속어, 욕설, 은어, 불긴한 단어와 비슷한 발음은 꽤 많이 다른 한자로 대체해서 사용한다.



唔該 vs 多謝

唔該 : 감사합니다
唔該晒 : 전부 감사합니다. 이것저것 감사합니다

唔該多謝
정도의 차이로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唔該-음꺼이를 직역하면 "마당치 않다"이다.
"이렇게까지 할 필요 없는데 감사합니다"같은 느낌으로
사람의 호의나 온정을 받을 때 사용된다.

광둥에서는 그냥 입에 붙여 사는 단어로,
물건을 건내 받을 때 반사적으로 사용한다.
거스름돈을 받을 때나,
구매한 물품을 전달 받을 때도,
사람의 수고에 대해서 唔該으로 감사 인사한다.


多謝의 직역은 "많이 감사합니다"이다.
호의 혹 온정보다,
실제로 준 것에 대한 감사이다.

선물을 받거나,
도움을 받거나,
칭찬을 받을 때도 사용한다.

영상에서의 도움은
상대가 주는 것이라고 보다
수습과 호의이기 때문에
多謝보다는 唔該이다.

모든 도움은 호의가 있다고 볼 수 있어서,
당연하게 애매하다고 느낄 것이다.
해 줄 필요가 없는데 하는 것에 대해서,
약간의 하사같은 느낌에 대한 감사에서는 多謝를 많이 사용한다.
이것이 감사의 정도 차이로 설명하는 사람이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嘢 + 동사 : ~하는 것

특수 사용법이다.

  • 嘢飲 : 마실 것 (음료)
  • 嘢食 : 먹을 것 (음식)
  • 嘢做 : 해야 할 것 (일)


話事

보통화의 '决定', '做主'.
자주하는 말로

  • 話事人 : 결정권자. 사장. 지배인
  • 邊個話事 : 누가 책임자인가요?
  • 叫個話到事嘅人 : 책임질 수 있는 사람 / 결정을 할 수 있는 사람을 불러줘